1. 개발도상국 발전 및 세계 인구 증가 등에 의한 에너지 수요 증가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에너지 산업에 집중
개발도상국 발전을 위한 상업운송수단의 증가로 연료 소비량 증가 및 추가적인 에너지 수요 창출 예상
2035년 세계 인구는 약 87억여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현재보다 약 16억여 명에 대한 추가적인 에너지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인구 증가에 따른 공업 제품 수요 증가로 관련 생산공장 가동 증가 (출처: United Nations, Exon Mobile)
2. 해외에 상장된 글로벌 기업에 대한 쉽고, 빠르고, 저렴한 투자
별도의 해외주식투자 수수료, 환전 등의 부대비용 없이 빠르고 간편하게 거래
투자유의사항
1. 본 상품은 거래상대방과의 장외파생상품 계약을 주된 투자대상으로 한 합성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로서 거래상대방 위험이 존재합니다.
장외파생상품을 중요한 운용수단으로 하여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합니다. 이에 따라 거래상대방의 자격요건과 위험관리 및 담보관리 등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 투자신탁의 계속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경우 상장폐지의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장외파생상품은 공개시장이 아닌 장외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짐으로 상대적으로 정부의 규제나 감독이 엄격하지 않아 장내거래 참여자들에게 제공되는 보호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장외파생상품에 투자시에는 거래상대방이 파산하거나 신용위기를 경험하는 경우 투자자금 전액회수가 불가능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2. 본 상품은 담보가치가 장외파생상품평가액보다 미달되어 투자신탁의 자산이 보호받지 못하여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KODEX합성-미국에너지는 장외파생상품으로 인한 거래상대방 위험을 통제하기 위해 담보를 설정받습니다.
최대손실추정금액 대비 담보의 가치를 95% 이상으로 유지할 것이나, 급격한 장외파생상품의 가치 변동, 담보의 가치변동으로 인해 담보의 가치가 장외파생상품평가액보다 낮은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습니다.
3. 기초자산이 한국과의 시차가 존재하는 시장에서 거래됨에 따라 관련한 위험이 존재합니다.
한국시간대에 발생된 천재지변 혹은 경제지표 및 기타 정책변수 등의 변동 등 기초자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하여, 해당 기초자산의 변동 가능성이 높게 예상되는 경우, ETF 거래 가격과 추정 NAV의 괴리가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초자산 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는 국면에서는 국내에서 거래되는 ETF의 유동성 공급호가 스프레드가 확대될 수 있습니다.
기초지수정보
S&P Select Sector Energy Index
S&P500의 Energy섹터 기업들을 수정가중평균방식으로 구성한 지수입니다.
미국 내 모든 보통주식을 편입대상으로 하며, NYSE, NYSE Amex NASDAQ Global Select Market, NASDAQ Select Market, NASDAQ Capital Market에 상장되어 있는 GICS(글로벌산업분류기준)에서 하부 산업분류인 Energy에 속하는 종목을 편입합니다.
GICS Classification, 시가총액, 유동성을 기준으로 종목을 편출입하고, 시가총액 4.6 USD bn 이상, FALR 100% 이상, 6개월 월평균 거래량 최소 25만주를 기준으로 편입합니다.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증권거래비용 및 기타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외화자산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레버리지 펀드는 하락장에서 손실이 크게 확대될 수 있습니다.
인버스 펀드는 지수를 역(逆)으로 추적하여 상승장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수 및 수익률 정보는 투자 참고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정보는 코스콤, 한국예탁결제원으로부터 제공받고 있습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당사가 운용하는 펀드상품에 대해 정형화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가
ETF가 시장에서 매매되는 1좌당 거래가격을 말합니다.
ETF를 투자할 때에는 현재가와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와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가
기준가(NAV) vs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기준가(NAV) :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 순자산가치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 ETF 1좌당 가치를 의미하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됩니다.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 ETF가 편입하고 있는 자산들의 현재 가격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ETF의 가치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가격을 참고하면서 매매합니다. 따라서 ETF의 거래가격은 대체로 iNAV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에 따라 거래 가격이 iNAV에 비하여 높은 수준에 형성(고평가)되거나, 반대로 iNAV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저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트레킹에러
펀드와 비교지수 성과차이의 변동성으로 추척오차라고도 합니다. 비교지수를 얼마나 잘 추종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인덱스펀드에 투자할 경우 주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변동성(표준편차)
펀드의 수익률이 평균에서 이탈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변동성 지수가 작을수록 변동성이 작은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 3년 분배금 지급현황
최근 3년 분배금 지급현황 표 : 지급기준일, 실지급일, 분배금액(원), 주당과세표준액(원)으로 조회됩니다.